2020. 8. 27. 22:49ㆍ생활코딩/머신러닝야학
외계인이 인류가 시각화 도구중에서 가장 위대한것이 무엇인지 물어보면 2개를 대답해도 되나고 물어보고 된다면 표와 좌표 평면이라고 말할것입니다 하지만 하나만 말하라 한다면 표 라고 대답할것같습니다
회계사들이 만든 표는 행과 열이라는 생긴것도 쇠창살 처럼생긴 곳에다가 데이터를 욱여 넣는 극도로 억압적인 도구입니다 하지만 아무리 복잡한 데이터라도 표안에 속박할수있다면 단정하게 정리정돈할수있습니다 뿐만아니라 엑셀이나 데이터베이스같은 도구에 표를 옮겨 담으면 컴퓨터가 가진 엄청난 저장 용량과 처리속도를 이용해서 강력한 표 로봇을 만들수 있습니다 여기에 머신러닝을 투입한다면 인간만이 지닐수 있다고 여겨왔던 통찰력을 기계도 발휘할수 있게됩니다.
그렇기에 데이터산업에 입문하려한다면 표를 이해하려는것이 매우중요합니다
표는 행(row)과 열(column)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매우 중요한 내용입니다 용어를 모르면 표를 보고 사람들과 소통할수 없기떄문에 햇갈리시면 안됩니다.
행과 열이 표의 기본 구조입니다 여기에 데이터를 넣을려면 위의 사진처럼 2가지방법으로 넣을수있습니다
하지만 데이터 산업에서는 오른쪽보다 왼쪽처럼 하자고 약속했기때문에 햇갈리지 마시길 바랍니다'
표는 데이터들의 모임입니다 그래서 표를 데이터 세트라고도 합니다 데이터세트라고 말하면 아 이사람이 표를 말하고있구나 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행의 경우 개체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하나하나가 개체하나하나를 의미하기떄문이죠 또 관측한 값이라는 의미에서 관측치 기록 사례같은 표현을 쓰기도 합니다 열의 같은경우 특성 속성 변수라고 합니다
이 표를 자세히보면 한건 한건의 데이터를 보면 행 데이터의 속성을 열로 구분하고있습니다 이것을 이해하는것이 데이터 분야에 입문하는 가장중요한 출발이라고 할수있습니다
'생활코딩 > 머신러닝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신러닝의 분류 (0) | 2020.09.01 |
---|---|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0) | 2020.08.28 |
직업의 시작 (0) | 2020.08.26 |
모르면 마법, 알면 기술 (0) | 2020.08.25 |
애플리케이션과 프로그램 (0) | 2020.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