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8)
-
트랜잭션
트랜잭션 트랜잭션(Transaction)은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환시키는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의 단위 또는 한꺼번에 모두 수행되어야 할 일련의 연산들을 의미합니다. 트랜잭션의 특징 1.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병행 제어 및 회복 작업 시 처리되는 작업의 논리적 단위입니다. 2. 사용자가 시스템에 대한 서비스 요구 시 시스템이 응답하기 위한 상태 변환 과정의 작업단위입니다. 3. 하나의 트랜잭션은 Commit되거나 Rollback됩니다. 트랜잭션의 성질 Atomicity(원자성) 1. 트랜잭션의 연산은 데이터베이스에 모두 반영되든지 아니면 전혀 반영되지 않아야 합니다. 2. 트랜잭션 내의 모든 명령은 반드시 완벽히 수행되어야 하며, 모두가 완벽히 수행되지 않고 어느하나라도 ..
2020.06.29 -
조인
JOIN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중복 데이터를 피하기 위해서 데이터를 쪼개 여러 테이블로 나눠서 저장합니다. 이렇게 분리되어 저장된 데이터에서 원하는 결과를 다시 도출하기 위해서는 여러 테이블을 조합할 필요가 있습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조인(JOIN) 연산자를 사용해 관련 있는 컬럼 기준으로 행을 합쳐주는 연산입니다. 조인의 종류 SQL 조인 쉽게 이해하기 위한 다이어그램입니다. 내부 조인 (INNER JOIN) 내부 조인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조인 구문중에 하나입니다. 내부 조인은 조인 조건문에 따라 2개의 테이블(A, B)의 컬럼을 합쳐 새로운 테이블을 생성합니다. 즉, 교차 조인을 한 결과에 조인 조건문을 충족시키는 레코드를 반환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내부 조인을 벤 다이어그램으로 표..
2020.06.26 -
무결성 제약 조건
데이터 무결성이란 데이터 모델을 다뤘던 포스팅에서 설명했듯이 데이터 모델은 데이터 구조, 연산자, 데이터 무결성의 세 가지 구성요소를 갖습니다. 데이터 무결성(data integrity)은 데이터 정확성 또는 유효성을 말하며, 데이터 무결성 제약조건이란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해 일관된 데이터베이스 상태를 정의하는 규칙들을 묵시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정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프로그래밍 언어로 비유하자면 서로 다른 데이터 타입의 데이터를 비교하거나 어떤 다른 데이터 타입의 변수를 배정하는 등의 작업을 제한하는 역할이 무결성 제약조건의 역할과 비슷하다고 보면 됩니다. 무결성 제약조건을 사용함으로써 얻는 장점은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될 때 DBMS가 자동적으로 일관성 조건을 검사하므로 제약조건을 응용..
2020.06.25 -
단일행 함수
함수 내장 함수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를 할수 있는데 밴더에서 제공하는 함수인 내장 함수(Built-in Function)와 사용자가 정의할 수 있는 함수(User Defined Function)로 나눌 수 있습니다. 내장 함수는 다시 함수의 입력 값이 단일행 값이 입력되는 단일행 함수(Single-Row Function)와 여러 행의 값이 입력되는 다중행 함수(Multi-Row Function)로 나눌 수 있다. 다중행 함수는 다시 집계 함수(Aggregate Function), 그룹 함수(Group Function), 윈도우 함수(Window Function)로 나눌 수 있다. 형식: 함수명 (칼럼이나 표현식 [, Arg1, Arg2, ... ]) 단일행 함수 특징 SELECT, WHERE, ORDER..
2020.06.24 -
수정, 삭제, 조회
select DML중에서 select는 조회를 하는 역활을 가지고있습니다. select * from 테이블 기본적으로 테이블의 전체를 바라볼때 사용하며 테이블내의 몇가지 칼럼조회 를 할떄는 select 칼럼1, 칼럼2 from 테이블명; 위의 코드 처럼 자신이 볼 칼럼을 넣어줍니다 그리고 만약 칼럼에 별칭을 넣어주고싶을떄는 select 칼럼1 "별칭1", 칼럼2 as "별칭2" , 칼럼 별칭3 from 테이블명; 이렇게 사용하나 단 공백이나 특수문자등이 있을땐 쌍따음표 꼭 사용 해야합니다. select DISTINCT 칼럼1,칼럼2 from 테이블명; 중복된 값 제거하고 조회를 하고자 하면 위의 코드 처럼 DISTINCT를 사용하여 중복된 값을 없엘수 있습니다 단 반드시 select 옆에 위치해야 하며,..
2020.06.23 -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 항목 간에 사전 정의된 관계가 있을 때 그러한 데이터 항목들의 모음을 가리킵니다. 이들 항목은 열과 행으로 이루어진 테이블 집합으로 구성됩니다. 테이블은 데이터베이스에 표시할 해당 객체들에 관한 정보를 수록하는 데 사용됩니다. 테이블의 각 열은 특정 종류의 데이터를 수록하며 필드는 속성의 실제 값을 저장합니다. 테이블의 행은 한 객체 또는 엔터티와 관련된 값들의 모음을 나타냅니다. 테이블의 각 행은 기본 키라고 부르는 고유 식별자로 표시할 수 있고 여러 테이블에 있는 행들은 외래 키를 사용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습니다. 이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자체를 재구성하지 않고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SQL 구조화 질의 언어(Structu..
2020.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