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코딩(42)
-
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 화면을 이쁘게 만들기위하여 생긴것이 css이며 웹페이지가 정적이지않고 사용자가 어떻게 반응하면 웹사이트가 그것에 반응하여 지능적으로 움직이며 사용자가 동작에따라 상호작용하기를 원해 나온것이 JAVASCRIPT입니다 그리고 여러개의 페이지를 일일히 제작하고 그것을 하나하나수정하기에는 너무나 많은 시간이걸리기 때문에 공장처럼 찍어낼수있는 기능들이 담긴 PHP이나 JSP, Django등 이러한기술들이 생겨서 지금과 같이 오늘가갔이 거대한 웹사이트들이 생기게됩니다. 그리고 데이터가 폭증하면서 보관하고 다른사람들이 알수없도록 암호화한다던가 하나의 데이터에 수십수백명이 읽거나 수정하려할때 생기는 수많은 문제, 수많은 정보를 순식간에 가져오기 위해서 데이터 페이스가 나오게됩니다 이렇게 html에서 사용하는..
2020.04.02 -
CSS 이론
CSS의 기본 문법 css란 초기의 html은 화면으로 보기에 지저분해 보인다 라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것을 보안하기 위하여 css라는 것을 도입하게 되었는데 css는 cascading style sheet의 약자로 여기서 중점적인 것은 style입니다 css는 html과는 다른 독립된 언어이지만 html을 떠나서는 살 수 없는 언어입니다 왜냐하면 html을 디자인하기 위해서 고안된 언어이기 때문입니다. 예제 1 이번에는 css를 사용하여 h1태그에 색깔을 추가해볼 것이다 CSS javaScript html php 이렇게 style을 사용하여 h1태그가 적용된 글자색을 빨간색으로 지정하여 바꿀 수 있습니다. 예제 2 이번에 해볼 건 css의 style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 기능을 사용해볼 것입니다..
2020.04.01 -
MySQL 스키마(schema)의 사용
개요 오늘은 cmd를 통해 mysql안에서 스키마를 만들고 그것을 확인하는 작업을 할 것입니다. 스키마 생성 스키마를 생성하는데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처음에는 cmd창을 띄워 mysql로 들어갑니다. 그 후 mysql에서 제공하는 쿼리문을 입력해줍니다. create table mytester; 입력 후에 위의 사진처럼 Query OK라는 문구가 나오면 완성 하지만 정확하게 들어갔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show databases; 위의 쿼리를 입력하여 확인이 가능하며 이것을 입력 시에 이렇게 데이터베이스 안에 mytester라고 하는 스키마가 들어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참고한 수업 링크 https://opentutorials.org/course/3161/19535
2020.04.01 -
MySQL 서버 접속
데이터베이스 효용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할 때 여러 가지 효용이 있는데 여기서 첫 번째로 얻을 수 있는 효용은 보안입니다. 파일은 운영체제가 뚫리면 그안의 파일을 막 수정할 수 있어 위험하지만 데이터베이스는 자체적인 보안 체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안정하게 데이터를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것 외에도 데이터베이스에서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A라는 사람은 읽기 수정 삭제를 할 수 있게 하거나 하나의 테이블만 제어 가능하게 하거나 테이블의 읽기만 가능하도록 권한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mysql 서버 접속 cmd 창에서 데이터베이스에 들어가기 전 -uroot를 사용하는데 이것은 root라는 사용자로 이용하겠다인데 root는 관리자 계정 이기에 중요한 부분까지 건들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2020.04.01 -
포워딩 설정
포워딩 도메인으로 접근한 사용자를 다른 도메인으로 보내는 행위를 포워딩라고하며 보통 호스트를 설정할 수 없을 때 사용합니다. 이메일 에서도 내가받은 내용을 다른사람들에게 전달 할떄도 포워딩이라고 합니다. 포워딩에는 2가지 방식이있으며 유동 포워딩과 고정 포워딩이있습니다. 유동 포워딩: url의 주소가 다른 주소로 변경되면서 그주소로 이동됩니다. 고정 포워딩: 같은 경우에는 실재로는 도메인이 변하긴하지만 브라우저 상에서 입력한 주소가 그대로 유지가 되는것을 고정 포워딩이라고 합니다. 참고한 주소 링크 https://opentutorials.org/course/228/1454
2020.03.31 -
MySQL의 구조
mysql의 구조 표 mysql은 엑셀과 같은스프레트시트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표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최종적인 장소이며 데이터베이스(스키마) 데이터 베이스는 연관된 표들을 그룹화 해서연관되어있지 않은 표와 분리할때 사용하는 파일의 폴더같은 것을 데이터 베이스라고 합니다. 데이터 베이스라는 표현 하기도 주로 스키마 라는 이름으로 표현을 합니다. 결국 연관된 데이터들을 그룹화시키는 것이 스키마(데이터 베이스) 입니다 데이터베이스 서버 여러가지 스키마들이 많아지면 그것을 저장하는 장소를 데이터 베이스 서버라고 합니다 설치한 mysql은 데이터 베이스 서버라는 프로그렘을 설치한것이며 프로그램이 가지고있는 기능성을 이용하여 여러가지 작업을 할수있는것입니다. 참고한 링크 https://opentutor..
2020.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