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08)
-
연관규칙학습
이번에는 비지도 학습에 속하는 연관을 해보겠습니다. 연관의 전체이름은 연관 규칙 학습 일명 장바구니 학습이라고 주로 불립니다 상상해봅시다 만약 자신이 온리인 쇼핑몰 사장이라면 더많은 상품을 판매하기위해 고민중이고 고객의 장바구니에 담긴 상품을 바탕으로 관심을 가질만한 상품을 추천하면 더많은 상품을 팔수 있겠네 라는 생각을 하게되었습니다. 이럴떄는 표를 봐야 합니다 이표는 지금 까지의 판매내역을 보여줍니다 하나 이상을 구매했다면 O 사지 않았다면 X입니다. 유심히 보면 라면을 구입한 사람은 계란을 구입할 확률이 높습니다. 즉 라면과 계란은 서로 연관성이 높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연관성을 파악할수 있다면 고객이 아직 구입하지 못했지만 구입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품을 추천해줄수 있을것입니다. 이정도양의 ..
2020.09.07 -
변수와 메서드2
개본형 매개변수와 참조형 매개변수 자바에서는 메서드를 호출할 때 매개변수로 지정한 값을 메서드의 매개변수에 복사해서 넘겨줍니다 매개변수의 타입이 기본형일 떄는 기본형 값이 목사되겠지만 참조형이면 인스턴스의 주소가 복사됩니다. 메서드의 매개볏수를 기본형으로 선언하면 단숭히 저장된값만 얻지만 참조형으로 선언하면 값이 저자오딘 곳의 주소를 알 수 있기 때문에 값을 읽어 오는 것은 물론 값을 변경 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기본형 매개변수: 변수의 값을 읽기만 할 수 있다(read only) 참조형 매개변수: 변수의 값을 읽고 변경할 수 있다(read & write) class Data(int x;} class PrimitiveParamEx{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2020.09.05 -
군집화
이번에는 비지도 학습에 군집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군집화는 비숫한 것들을 찾아서 그룹을 만드는 것입니다. 그러면 군집화와 분류와 햇갈릴수 있습니다 그러면 비교해보겠습니다 이사를 했는데 엄청나게 많은 물건들이 마구 어지럽혀져있을때 비슷한 것들 끼리 모아서 적당한 그룹을 만들것입니다. 이렇게 그룹을 만드는 것이 군집화 입니다. 그룹을 만든 후에는 각각의 물건은 적당한 그룹에 위치시키는 것을 분류입니다. 정리하자면 어떤 대상들을 구분해서 그룹은 만드는 것이 군집화라면 분류는 어떤 대상에 어떤 구룹에 속하는지를 판단하는것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배달사업을 하고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1000만명이 있다고 할때 위의 표에는 천만명의 위치가 표기되어 있고 이름 옆에는 위치정보인 위도 경도가 있고 이것..
2020.09.04 -
[백준]스택
이번에는 정수를 저장하는 스택을 구현한 다음,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알고리즘을 작성합니다. n = int(input()) a=[] for i in range(n): cmd = input().split() if cmd[0] == 'push': a.append(cmd[1]) elif cmd[0] == 'pop': try:print(a.pop()) except: print(-1) elif cmd[0] == 'size': print(len(a)) elif cmd[0] == 'empty': if len(a)==0: print(1) else: print(0) elif cmd[0] == 'top': try: print(a[-1]) except: print(-1) 처음에는입력할 변수와 배열을 만들어주고 n..
2020.09.04 -
Jetty
[Java] Jetty 란? Jetty는 자바 HTTP 웹 서버이자 자바 서블릿 컨테이너다. 웹 서버가 보통 문서를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 반면, 제티는 대규모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에서 기계와 기계의 커뮤니테이션에 사용된다. 서블릿 컨테이너(servlet container) 서블릿(servlet)이란 SUN 사에서 제안한 웹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로, 원칙적으로는 javax.servlet.Servlet 인터페이스의 구현체다. 일반적인 자바 독립 실행 프로그램과 달리 main 메소드가 없으며, 서블릿 컨테이너에 등록된 후 서블릿 컨테이너에 의해 생성, 호출, 소멸이 이루어진다. 즉, 클라이언트가 request를 보내면 그에 대한 결과를 다시 전송해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역할을 하는 자바 프로그램이..
2020.09.04 -
조합 0의 개수
이번에는 nCm의 끝자리 0의 개수를 출력하는 알고리즘을 작성하여봅니다. #n!의 5 개수 세는 함수 def five_count(n): answer = 0 while n != 0: n = n // 5 answer += n return answer #n!의 2 개수 세는 함수 def two_count(n): answer = 0 while n != 0: n = n // 2 answer += n return answer n, m = map(int, input().split()) if m == 0: print(0) else: print(min(two_count(n)-two_count(m)-two_count(n-m), five_count(n)-five_count(m)-five_count(n-m))) 처음에는 n!..
2020.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