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4. 5. 16:51ㆍ생활코딩/생활코딩 인터넷
개요
DDNS의 개념을 이해하고 작동방식을 알아봅니다.
DDNS란?
DDNS란 유동 IP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고정된 주소를 제공해주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인터넷 회선은 유동 IP를 사용하는데, 외부에서 고정된 주소로 접근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을 해보면 첫 번째로 ISP(인터넷 업체)에 연락하여 고정 IP로 변경하여줍니다(단 추가 비용이 발생합니다) 두 번째 공유 기내의 DDNS기능을 사용합니다. 세 번째 도메인을 구입 후 그 도메인의 레코드를 수시로 변경하여줍니다. 마지막으로 도메인을 구입 후 DDNS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임서버로 변경합니다
DDNS를 통해 자신의 컴퓨터에 Web이나 FTP서비스를 설치하여 개인적으로나 소수의 그룹이 사용하는 인터넷 서비스를 손쉽게 저렴한 공유기로 가능하니 유용한 기술입니다.
DDNS작동방식
다음으로 DDNS스의 작동방식을 사진을 통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IP Monitoring(공인IP 감시) : 먼지 서버용 컴퓨터에 설치된 DDNS 프로그램을 통하여 현재 공인 IP의 변동상황을 실시간 감시하게 됩니다. 2.2. Dynamic IP Update(변동 IP 전송) : 공인 IP가 변동되었을 경우, 변동된 IP 정보를 전송하여 DNS 서버의 데이 스터 베이스에 저장(INSERT)합니다.
3. DNS Update(네임서버 변경) : 데이스터베이스에 추가된 변동 정보는 즉시 DNS(존 파일)에 반영하여 실시간으로 DNS를 업데이트합니다.
4. DNS Propagation(도메인정보 전파) : 도메인 정보의 질의 요청과 함께 변동된 DNS 정보를 전 세계 DNS에 실시간 전파합니다.
5. Domain Query (도메인 질의) : 전파된 도메인정보를 바탕으로 찾아갈 수 있는 서버 사용자의 컴퓨터/서버로 이동하도록 합니다.
참고한 수업 링크
https://www.codns.com/b/B05-54
'생활코딩 > 생활코딩 인터넷'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S와 SSL인증서 (1) | 2020.04.05 |
---|---|
집에서 웹서버 운영하기 (0) | 2020.04.03 |
hosts 파일 (0) | 2020.04.02 |
네임서버 (0) | 2020.04.01 |
포워딩 설정 (0) | 2020.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