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sts 파일

2020. 4. 2. 02:55생활코딩/생활코딩 인터넷

hosts

호스트 파일을 이용하면 특정한 도메인에 해당되는 ip를 자신의 컴퓨터에 셋팅할수있습니다. 컴퓨터는 내부적으로local cache안에 ip가 있는지 확인해보고 없으면 host파일에서 검색하여 찿고 그래도 없으면 dns를 검색하서 제공해주는ip를 가져와서 그아이피에 해당되는 컴퓨터를 그때되서 찿아갑니다.

여기서 local cache란 한번이라도 A라는 사이트에 방문을 했다면 A의 도메인에 해당되는ip가 무엇인지 자신의 컴퓨터에 기억하게됩니다.

만약 한번도 A라는 사이트에 방문한적이 없다면 hosts 파일을 검색합니다 근데 hosts에도 없다면 그떄서야 도메인 네임서버를 검색하여 그ip를 받아서 컴퓨터로 접속하게되는것 입니다.

 

예시) 만일 local cache에서 검색결과가 없을떄 hosts파일에서 daum,net의 ip를 naver.com 도메인으로 입력해두면 naver.com를 입력시 daum.net로 넘어가게됩니다.

브라우저가 도메인에 해당하는 IP를 찾는 순서

  1. local cache를 검색한다. 
  2. hosts 파일을 검색한다. 
  3. 도메인 네임서버을 검색한다.

hosts file

호스트 파일을 찿을떄 자신의 os가무엇인지 알아보고 자신의 버전이 무엇인가롤 확인하고 환경변수 주소를 보여줍니다.

참고한 수업 링크

https://opentutorials.org/course/228/1457#cite_note-hostReset-4

'생활코딩 > 생활코딩 인터넷'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S와 SSL인증서  (1) 2020.04.05
집에서 웹서버 운영하기  (0) 2020.04.03
네임서버  (0) 2020.04.01
포워딩 설정  (0) 2020.03.31
호스트 설정  (0) 2020.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