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머신2

2020. 4. 16. 00:07생활코딩/생활코딩 가상머신

개요

가상 머신에서 사용 가능한 기능들을 사용하여봅니다

가상 머신 사용법

지금까지는 가상 머신 위에 운영체재를 설치한 것까지 하였습니다.

그럼 이제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사용하기 전에 호스트와 게스트가 존재합니다

호스트는 가상머신 관리자가 설치되어있는 컴퓨터가 호스트 머신이라 하고 합니다.

가상 머신 안에 있는 운영체재를 게스트 운영체제라고 합니다.

가상 머신을 실행을 하면 설치한 운영체제가 보입니다.

만약 가상 운영체제를 끄고 싶다면 끄기 버튼을 누르거나 운영체제 안에 있는 종료 버튼을 눌러주면 끌 수 있습니다.

 

버추얼 머신 같은 경우에는 호스트 키가 존재하는데 호스트와 게스트를 서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키입니다.

호스트 키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버추얼 머신에 메뉴에서 환경설정에 들어가 입력이라는 항목에 들어가면 호스트 키가 나오며 자신이 사용할 호스트 키로 바꿀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rt+ctrl+a라고 호스트 키로 지정하면 그것을 입력 시 전환이 가능하게 되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일일이 버추얼 머신에 들어가 실행하는 것은 귀찮습니다 그럴 때 사용하는 것이 바로가기입니다 만드는 방법은 쉽습니다. 자신이 바로가기로 만들고 싶은 가상 머신 오른쪽 클릭을 하고 바로가기 만들기를 누르면 화면에 바로가기가 만들어집니다.

장치 연결

다음으로 해볼 것은 usb 같은 장치 연결을 만들어볼 것입니다.

처음에는 가상 머신 상단 메뉴에 USB 장치를 클릭하여줍니다.

다음으로 가삼 머신 게스트 운영체제에 연결하고자 하는 usb장치를 클릭해주시면 됩니다 하지만 이렇게 했을 시 잘 안될 수도 있습니다 그럴 때는 버추얼 머신에서 제공하는 확장팩을 설치하면 원활하게 할 수 있습니다.

VirtualBox 4.1.8 Oracle VM VirtualBox Extension Pack

처음에는 위에 있는 사이트에 들어가 All platforms을 클릭해주시면 모든 os에서 사용 가능한 장치를 제공하여줍니다.

설치 전에 모든 가상 머신을 종료하여주시고 참고로 위의 링크에 있는 파일과 버추얼 머신은 연결되어있기에 바로 설치가 가능합니다 그 후 사용할 게스트 운영체제를 오른쪽 클릭 후 설정으로 들어가 usb를 에들어가 usb컨트롤러 사용하기를 클릭하고 usb2.0까지 클릭 후 들어가 다시 설정해주면 사용이 가능합니다.

스냅숏

이번에는 사진을 찍는다는 의미의 스냅숏을 알아보겠습니다.

가상 머신의 스냅숏은 일종의 백업 같은 역할을 합니다 컴퓨터의 상태(설치된 프로그램, 저장 중인 데이터,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를 그대로 보관해두는 것을 스냅숏이라고 합니다.

가상 머신을 클릭 후 오른쪽 위에 스냅숏 버튼이 있습니다 이 버튼을 누를 시 화면이 스냅숏과 관련된 화면으로 변합니다

스냅숏의 사용법으로는 의심이 가는 프로그램을 설치 시 바이러스나 오류 시 스냅숏을 찍어두었다면 설치 전으로 돌아가 안전한 상태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그러면 가상 머신 안에 게스트 운영체제를 스냅샷을 사용해보겠습니다.

가상 머신 메뉴 중에 머신 안에 있는 항목에 스냅숏 찍기라는 항목을 클릭하여줍니다

그 후 자신이 지정하고 싶은 이름을 지정하여주면 그지점이 찍혀 복구를 할시 그지점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단 복구를 할 때는 사용하고 있는 가상 머신을 종료 후에 사용이 가능합니다. 여기서 복제를 사용하여 같은 지점을 복사하여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복제

가상 머신의 복제라는 것은 그 컴퓨터와 완전히 똑같이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복제하는 방법은 복제할 가상 머신을 오른쪽 클릭 후 복제 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다음 새 머신의 이름을 지정하여줍니다. 다음 복제 방식을 설정해줍니다 여기서 완전한 복제는 원래의 가상 머신과 완전히 복제하여 새로운 복제본을 만드는 것이고 연결된 복제는 전체를 복제하는 게 아니라 원래의 가상 머신의 현제 상태를 스냅숏을 찍어주고 거기서부터 변화된 변경점들을 추가하는 것이 연결된 복제입니다.

여기서 연결된 복제의 장점은 빠르게 가상 머신을 만들 수 있으며 용량 사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이유는 기존의 데이터 기반으로 만들기 때문입니다. 단 원본이 사라지면 복제본에도 영향이 가므로 조심해야 하지만 완전한 복제는 원본이 삭제되어도 영향이 가지 않습니다.

공유폴더

다음은 공유폴더입니다.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게 되면 독립적인 가상 머신을 만들어서 그 가상 머신 위에서 운영체제를 돌리게 되면 주인이 되는 호스트와 호스트 위에 있는 게스트가 있지만 어떠한 연결점이 없습니다 그러기에 게스트가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호스트에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호스트 파일 접근하려 하면 제한이 생기지만 그때 해결하는 방법이 공유폴더입니다. 그럼 공유폴더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처음  장치에서 공유폴더로 들어가 줍니다

다음 +표시가 된 폴더를 클릭하면 공유 추가라는 항목이 나오며

공유 추가에 combobox를 선택하여 기타에 들어가면 호스트 운영체제의 구조를 보여줍니다

여기서 자신이 연결해주고 싶은 폴더를 누른 후 이름을 지정하고 확인을 입력 시 네트워크에 새로운 디렉터리가 있습니다 그것을 클릭 시 자신이 연결한 디렉터리가 있습니다 이렇게 호스트와 게스트를 공유폴더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킹

마지막으로 가상 머신을 사용하여 네트워킹을 해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는 가상 머신을 설치하면 그 안에 게스트 운영체제는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별히 가상 머신을 이용하여 웹서비스를 하거나 퍼블릭한 인터넷에 접근할 때가 아니면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사용법으로 바로 가겠습니다.

사용할 가상 머신에 오른쪽 클릭을 한 후 설정을 누르고 네트워크를 누를 시 어뎁터가 있습니다

다음에 연결됨 부분에 다양한 타입의 어뎁터가 있습니다. 각각의 어뎁터가 어떤 기능인지 알아봅니다.

  1. bidged: 호스트와 가상 머신이 위의 사진처럼 병렬연결되어있어 가상 머신들도 각각의 ip가 부여되어 외부의 인터넷과 연결이 됩니다.
  2. host only:호스트 컴퓨터가 사설 ip를 만들어서 가상 머신들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방식 호스트와 게스트는 연결되어있지만 인터넷을 연결이 안 됩니다.
  3. NAT:호스트와 게스트 간의 연결이 불가능하지만 인터넷이 연결이 가능합니다

 

'생활코딩 > 생활코딩 가상머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전  (0) 2020.08.31
가상머신1  (0) 2020.04.14
windows10 Hyper-V 설치및 셋팅  (0) 2020.04.13